서블릿의구조, 요청방법
dainamic 기본구조
pakege를 반드시 결정해줘야함 안그러면 프로그램파일이 인식을 못함
기본적인 서블릿 만드는법
1)Http를 상속시켜줘야한다
2) 서블릿의 별명을 지어준다 (WebServlet)
3)서블릿을 실행할때 필요한 Main 메소드(service)를 불러온다
4)request (요청), response(응답)
5)실행문
6)성공 실행
ctrl + f11 -> main메소드
자동으로 요청 -->주소창에 자동으로 url 입력 http://localhost:8081/Servlet/ex01 (요청)
protocol / 서버의ip주소/ 포트번호 / 프로젝트이름/서블릿의별명
404 -> Not Found, 주소를 잘못입력한경우
405 -> Get, post 방식을 틀렸을 경우
500 -> Server error, 파일 실행 중 에러
Servlet의 별명
URLMapping :Servlet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지정해주는 별명
//http://localhost:8081/Servlet/ex01
//http:// : protocol
//localhost : 서버의 ip주소
// :8081 : 지정된 포트번호
// /Servlet : context Path , 컴파일 된 파일이 위치
//C:\Users\GITCT\Desktop\Web\.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0\work\Catalina\localhost
1)Servers 프로젝트 클릭 -> server.xml 클릭 하고 Source 누르면 코드로 변환
) docBase = 프로젝트이름 path =저장할 폴더명
path 를 "/ser" 변경
Context path 는 반드시 고유한 값이여야 한다 중복불가능 !!!!!
마찬가지로 URLMapping 도 고유한값을 가져야함